네트워크

RESTful 웹서비스? RESTful? REST? REST API?

cloudlim 2024. 1. 14. 17:39

RESTful?

- REST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

*근데, REST를 사용했다고 무조건 RESTful한 건 아님. REST API 설계 규칙도 지킨 시스템을 RESTful하다 말함

 


 

REST?

  •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약자
  •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 [②HTTP Method]를 통해 [①HTTP URI로 명시된] Resource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
    = Resource를 [①이름]으로 구분해서 Resource [②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 HTTP Method: POST, GET, PUT, DELETE, PATCH 등
      → REST는 기본적으로 기존 웹 기술과 HTTP Protocol을 그대로 활용하기에 웹 장점을 최대 활용 가능한 아키텍처 스타일
      *웹서비스 아키텍처 종류: RESTfu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등
    • CRUD-HTTP Method: Create-POST / Read-GET / Update-PUT, PATCH / Delete-DELETE
  • REST 구성요소
    • Resource = URI
      • 모든 Resource는 고유한 ID가 존재
      • 모든 Resource는 Server에 존재
      • 각 Resource는 HTTP URI로 구분됨(Resource의 ID인 셈)
      • Client는 URI를 통해 Resource를 지정
    • Verb = HTTP Method
      • Client는 HTTP Method를 통해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
    • Representation of Resource
      • Client가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하면, Server는 요청에 대한 적절한 응답(Representation)을 반환
  • REST 특징
    • Server-Client 구조
      • Server는 API를 제공하고 비즈니스 로직 처리 및 저장을 담당
      • Client는 사용자 인증, Context 등을 직접 관리
    • Stateless
      • Client의 Context를 Server에 저장하지 않음
        • Session이나 Cookie 신경쓸 필요 없음
      • Server는 Client의 모든 요청을 별개로 인식하고 처리함
        • 이전 요청과 다음 요청이 연관되거나 이어지지 않음
        • 처리방식의 일관성 부여 및 서비스 자유도 상승
    • Cacheable
      • 캐싱 기능 적용 가능
      • 캐시 사용으로 전체 응답시간, 성능 향상
    • Layered System
      • Client는 REST API Server만 호출
      • REST Server는 다중 계층 구성 가능
    • Code On Demand
    • Uniform Interface
      • 인터페이스 일관성
      • Client-Server 통신은 표준화된 Method와 Method format을 사용

 


 

REST API?

- REST 원리를 따르면서 REST API 설계 규칙에 맞게 설계된 API

 


RESTful 웹서비스란?

Client-Server 구조이면서, Client-Server 간 통신은 HTTP Method를 통해 이뤄지고, Client-Server 간 통신은 Stateless하다.

 


출처

 

 

[네트워크] REST API란? REST, RESTful이란?

REST API란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합니다. REST API를 알기 위해 REST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

khj93.tistory.com

 

 

[간단정리] REST, REST API, RESTful 특징

개요 REST, REST API, RESTful 특징 알아보기 REST REST 정의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월드 와이드 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

hahahoho5915.tistory.com

 

RESTful API, 웹서비스(Web Service)

RESTful Api를 사용하는 이유 앱에서 사용되는 대량의 데이터는 파일을 따로 구성하여 앱 내부에 넣어두고, 이 파일을 읽는 방식으로 처리된다. 콘텐츠 서비스 앱은 최신의 데이터가 핵심요소이다.

infinitt.tistory.com

 

RESTful 웹 서비스란?

RESTful 웹 서비스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REST) 아키텍처 원칙을 따르는 웹 서비스 디자인 스타일입니다. REST는 웹 서비스의 리소스를 표현하고 상태를 전달하기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로, HTTP 프

velog.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