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프라 공부(OSI 7계층, IP)
국제표준화기구 ISO 발표 모델
레벨 | 계층 | |
소프트웨어 계층 | 7 | Application |
소프트웨어 계층 | 6 | Presentation |
소프트웨어 계층 | 5 | Session |
소프트웨어 계층 | 4 | Transport |
하드웨어 계층 | 3 | Network |
하드웨어 계층 | 2 | Data Link |
하드웨어 계층 | 1 | Physical |
7 Application
- End User와 가장 가까움
- 예) Browser, Messenger APP
6 Presentation
- 네트워크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계층 간 데이터 변환
- 인코딩, 데이터 압축, 암호화, 복호화 진행되는 단계
5 Session
- End User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해 세션을 만드는 단계
- 세션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이 가능토록 함
- 세션 품질 확인 진행
- 프로토콜: SSH
4 Transport
- 데이터 전송 작업을 조율하는 작업 진행
-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용량, 속도, 목적지 등을 처리하는 단계
- 송신지/수신지의 Port 번호 인지 가능한 단계=서비스를 구분할 수 있는 단계
ㄴ예1) Port NO 80이라는 걸 알 수 있는 단계 → Apache 서비스라는 걸 알 수 있음
ㄴ예2) Port NO 21이라는 걸 알 수 있는 단계 → FTP 서비스라는 걸 알 수 있음
→ L4 스위치는 서비스별로 그룹을 만들어 부하를 분산시키는 로드밸런싱 작업 가능
3 Network
- 패킷을 어디로 보낼지 라우팅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단계
ㄴ패킷? 3계층에서 데이터를 부르는 용어
ㄴ라우팅? 패킷을 어디를 통해 보내야할지 길 찾는 작업
2 Data Link
- Mac 주소 기반 통신 진행됨
ㄴMac주소? 주민등록번호와 같이 하드웨어 고유 주소
*2계층에선 데이터를 프레임(Frame)이라 부름
1 Physical
- 통신을 위한 전기적 신호와 케이블에 해당됨
LAN
=근거리 통신망
=독립된 네트워크 공간
- 구축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이더넷 (*표준 규격으로 사용되고 있음)
Cable
- 물리적으로 통신을 잇는 장비
- LAN 카드에 꽂혀서 컴퓨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함
- UTP와 광케이블로 나뉨
ㄴUTP: 보편적인 전송속도 1Gbps / 비용이 저렴해서 사용 / 많은 데이터센터 스위치 장비가 UTP
*케이블 카테고리따라 전송 속도와 대역폭이 다름
ㄴ광케이블: 원거리 안정적인 고속 통신용 / 레이턴시와 오류가 적음
*광케이블은 송신 부분과 수신 부분이 다름
ㄴㄴ 어둡게 했을 때 빛이 반짝이는 부분이 송신 부분
ㄴㄴ 송신과 수신을 연결해야함
IP와 MAC주소
- IP: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논리적 주소
ㄴ ISP가 IP를 할당
ㄴ 가변적임
- MAC주소: 글로벌하게 유일한 하드웨어 물리적 주소
ㄴMAC주소의 필요성: IP는 가변적이라 IP만으로 주소 찾기 불가. 그래서 IP→MAC주소로 변환되는 작업 발생. 이를 ARP(주소해석 프로토콜)라고 함
ㄴㄴ3계층의 IP가 2계층에서 MAC주소로 바뀜
ㄴㄴARP테이블은 IP-MAC 리스트를 임시 저장해놓는 테이블임
IP 주소
- ISP가 제공하는 고유 주소
- 공인IP와 사설IP로 분류됨
ㄴ공인IP: 개수 유한 / 유료 / 언제든 누구나 함께 통신 가능한 공간이 Public Network
ㄴ사설IP: 외부 통신 불가(외부 통신 시에는 라우터가 갖고 있는 공인IP를 공유) / 특정 조직 내에서만 통신 가능한 공간이 Private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