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패킷 흐름, 릴레이 에이전트, 갱신 개념 정리
IP 할당
Host가 네트워크 통신하려면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등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DNS 주소를 Host에 적용하려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정적할당과 동적할당
정적할당은 관리자가 한땀한땀 IP를 할당해주는 걸 의미합니다.
DHCP는 IP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DHCP 패킷 흐름(IP 동적 할당 과정)
DHCP로 IP를 할당하면 패킷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DHCP Discover
- Host가 브로드캐스트 확성기에 대고 외칩니다 "IP 할당해줘!"
- 같은 마을에 있는 모든 DHCP Server가 듣습니다.
2. DHCP Offer
- Host 외침을 들은 모든 DHCP Server가 "이 IP 써!"라며 IP를 제안합니다.
- 이때 할당되는 IP는 임의로 할당됩니다.
- 사전에 정해진 게 있다면, 고정된 IP를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 DHCP Server가 제안할 때, IP만 제안하는 건 아니고 서브넷, 게이트웨이, DNS, IP 주소 임대 시간 등도 같이 알려줍니다.
- 희안한 건 이것도 브로드캐스트로 전달합니다.
3. DHCP Request
- Host는 마음에 드는 거 하나 골라 "그걸로 할게!"라고 외칩니다.
- 역시나 브로드캐스트로 외칩니다.
4. DHCP Acknowledgement
- Host의 픽을 당한 DHCP Server는 "OK"라고 외칩니다.
- 역시 브로드캐스트로 외칩니다.
DHCP에서 Host에 IP가 할당되는 과정은 이렇습니다.
근데 여기서 의문이 있습니다.
그럼 DHCP 쓰려면 다 같은 마을에 있어야 하나?
즉, 같은 LAN에 있어야 하냐는 겁니다.
브로드캐스트로 통신하니깐요.
DHCP 릴레이 에이전트
뭐 꼭 다 같은 마을에 있어야 하는 건 아닙니다.
근데 마을이 여러 개일 때 쓸만한 애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릴레이 에이전트입니다.
이거 있으면, 얘가 다 대리해줍니다.
로드밸런서마냥 Host와 DHCP Server 사이에 위치해 중개해주는 겁니다.
중간에 릴레이 에이전트가 들어가면,
Host랑 에이전트는 브로드캐스트로 통신하고
DHCP Server랑 에이전트는 유니캐스트로 통신합니다.
IP Renewal(갱신)
아무튼 아키텍처는 중간에 릴레이 에이전트 껴서 구성할 수 있다는 얘기이고
사실 DHCP Server가 IP 할당해준다곤 했는데 이거 임대입니다.
위에서도 Offer 단계에서 임대시간도 같이 전달한다고 했는데 이게 바로 그 의미입니다.
IP 빌려준다는 의미죠. IP가 무한한 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 임대 기간 끝날 때마다 다시 위 4단계 다 거쳐야 하느냐?
그건 아닙니다.
얘들도 연장할 수 있어요.
연장 시점은 일단 임대기간 50% 경과하면 갱신(Renewal) 진행합니다.
그렇게 되면 Discover랑 Offer 단계 생략하고 바로 Request, Acknowledgement 가 진행됩니다.
그리고 이거 동네방네 떠들어서 노이즈 만들 필요가 없으니깐, 유니캐스트로 진행됩니다.
근데 갱신 실패 하면? 그러면 또 임대시간 75% 경과했을 때 다시 한 번 갱신 진행됩니다.
이떄도 실패하면 걍 IP 반납하는 겁니다.
출처: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 고재성 - 교보문고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 클라우드/데브옵스 시대에 알아야 할 인프라 지식 서버실이 있고, 서버 관리자가 따로 있었던 시대를 지나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편화되었다. 클라우드 서비
product.kyobobook.co.kr
※ 안내 ※
제가 이해한 대로 정리한 것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는 것과 다른 게 있다면 언제든 피드백 부탁드리며,
위 내용을 잘 모르는 분들은 다른 글과 함께 크로스체크하며 학습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