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명령어

pwd ▶ 나는 어딘가?

ls ▶ 이 디렉토리에는 뭐가 있는가?

cd /${디렉토리명} ▶ 여기로 드가자

ㄴ예) cd /var/log

ㄴ cd log

ㄴ cd .. ▶ 뒤로 가자잉

mkdir ${디렉토리명} ▶ 이거 만들어줘(make directory 약어)

vi blahblah.txt ▶ blahblah 텍스트파일 열어줘(없어면 만들어서라도 열어라잉)

cp blahblah.txt ▶ 이거 복사본 만들어줘

mv blahblah.txt {위치시킬 경로} ▶ 저기로 옮겨줘

rm blahblah.txt  ▶ 이거 없애줘

wget ${URL} ▶ URL 파일 다운받아줘(web get 약어)

git clone ${git repository 주소} 리포지토리 이거 다운받아잉

 

 

 

AWS 교과서에선 AWS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실습을 다룹니다.

AWS 서비스 구성 실습에서 나온 리눅스 명령어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df 명령어

- disk free 약어

- 현재 사용중인 파일 시스템의 전체 용량, 사용 용량, 사용 가능 용량, 사용률, 마운트 위치를 알려줌

- 사용 상황: File System Full(용량 꽉 참)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파일 시스템 점검 시 사용

- 옵션: "-h" 옵션은 human-reable의 약어로 사람이 보기 좋게 용량을 알려주는 명령어

- 활용: df -hT /dev/xvda1

 

df실무1편: 파일시스템별로 디스크사용량 점검하는 df 실무 > 강좌 | 클라우드포털

df실무1편: 파일시스템별로 디스크사용량 점검하는 df 실무 df는 "Disk Free"의 약어로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의 전체용량, 사용한 용량, 사용 가능한 용량, 사용 율, 마운트정보등을 보여준다.

www.linux.co.kr

 

df실무2편: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df)에 용량단위를 직접 지정하기 > 강좌 | 클라우

df실무2편: 파일시스템들의 사용량을 확인할 때(df)에 용량단위를 직접 지정하기 df를 이용하여 파일시스템들의 디스크사용량을 확인할 때에 다음 예들과 같이 용량단위별로 점검을 할 수 있다.

www.linux.co.kr

 

 

 

lsblk

- list block device의 약어

- blkid보다 상세하게 디바이스 정보 출력

- 옵션 없이 쓰면 트리 형식으로 모든 정보 출력

- 사용 상황: 새 디바이스 탑재 시 또는 스토리지 문제 디버그 시 사용

- 출력 정보

ㄴRM: 제거 가능 여부(1예 / 0아니오)

ㄴSIZE: 디스크 크기

ㄴ RO: 읽기 전용 여부(1읽기 전용 / 0읽기 전용 아님)

 

프로그래밍 「 리눅스 편」리눅스 'lsblk' 명령 마스터하기: 종합 가이드

이 기사에서는 Linux 명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 이 가이드는 명령의 역사, 용도 및 다양한 옵션과 함께 실제 적용 및 잠재적 문제를 탐색했습니다. 명령을 마스터하면 Linux 환경에서 블

grapedoukan.tistory.com

 

리눅스 스토리지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하는 lsblk 명령어 사용법

 

www.lesstif.com

 

모든 Linux 디스크 장치를 나열하는 방법 – Linux 힌트

모든 Linux 디스크 장치를 나열하는 방법 – Linux 힌트 범주 잡집 | August 01, 2021 09:35 Linux에서 디스크 장치를 나열하는 방법 lsblk 하드 디스크와 같은 블록 장치를 나열하는 올바른 방법은 다음 명령

ciksiti.com

 

 

blkid 명령어

- 블록 디바이스의 파일 시스템 유형이나 속성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

- UUID 얻을 때 많이 사용

- 옵션 없이 사용하면 kernel이 인식한 모든 블록 디바이스 정보 출력

 

리눅스 블록 디바이스의 uuid 를 출력하는 blkid 명령어 사용법

 

www.lesstif.com

 

 

 

UUID

*리눅스 명령어는 아닙니다.

-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약자

- 네트워크 상 고유 식별자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란?

1. UUID란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성이 보장되는 id를 만들기 위한 표준 규약이다. UUID는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의 약어이고 범용 고유 식별자라고 한다. 주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식별자

mattmk.tistory.com

 

 

 

 

"cat /etc/fstab" 명령어 입력 시 출력되는 정보

- 마운트옵션 noatime: 파일에 accesstime을 기록하지 않는 옵션. 해당 옵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성능 개선에 도움이 됨(디스크 I/O 줄임)

 

[꿀팁] 고전적 리눅스 튜닝 - 파일 시스템 마운트 옵션으로 성능 개선하기

[꿀팁] 고전적 리눅스 튜닝 - 파일 시스템 마운트 옵션으로 성능 개선하기 #noatime #remount #fstab 20년 전 부터 사용했던 파일 시스템 마운트 옵션으로 성능 개선하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요즘 세대

couplewith.tistory.com

 

/etc/fstab파일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 강좌 | 클라우드포털

/etc/fstab파일의 구조를 알아야 한다. 자, 그럼 /etc/fstab파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etc/fstab파일의 모든 행들은 각각 6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6개의 항목은 다음과

www.linux.co.kr

 

 

 

mkdir 명령어

- make directory 약어

- 디렉토리 생성 명령어

 

[Linux] 리눅스 mkdir 명령어(디렉토리 생성) 사용법 & 옵션 정리

mkdir mkdir의 뜻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mkdir [옵션][생성 할 디렉토리] new_folder 디렉토리 생성 ex) mkdir new_folder /home/user/위치에 new_folder 디렉토

coding-factory.tistory.com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명령어  (0) 2024.05.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