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구매]

1. A(구매희망자)Registrar(등록대행자 - e.g. Route 53, Gabia)에게 도메인 구매 대행 요청
"example.com 사고 싶어"

2. Registrar(등록대행자)Top-Level 도메인(e.g. .com / .kr / .org) Registry에게 구매 요청
"A(구매희망자)example.com 사고 싶대"

*Top-Level 도메인마다 Registry가 다르다

 

[DNS 구매 후 > 도메인에 IP 연결]

전제) 전세계 사람들이 도메인 주소로 IP주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려면, DNS를 갖고 있어야 한다

ㄴ방법1) DNS를 직접 운영한다

ㄴ방법2) DNS 서비스를 사용한다  - e.g. Route 53

3. DNS에서 example.com의 IP 주소는 93.431.432.32라고 세팅한다

4. Registrar Registry에게 " example.comDNS 서버 주소는 a.iana-servers.net"라고 알려준다

5. Registry본인의 DNS에 " example.comDNS 서버 주소는 a.iana-servers.net" 라고 등록해둔다. 

 

[도메인 IP 변경]

6. DNS에서 example.com의 IP주소를 93.431.432.45로 변경한다.

 

[Client가 도메인을 통해 IP 접속]

1. 💻Computer가 네트워크에 연결됨

2. 인터넷 통신 제공 사업자가 💻Computer가 사용할 DNS를 자동으로 세팅해준다

3. 💻Computer User가 example.com을 검색한다

4. 💻ComputerDNS에게 example.com의 IP 주소가 뭐냐고 묻는다

5. DNSRoot Name Server에 물어본다.

*Root Name Server가 누구인지는 상수로 정해져 있고 모든 DNS는 알고 있다

6. DNS가 Top-Level 도메인을 보고 쟤(Top-Level 도메인 서버)한테 물어보라고 알려준다.

7. DNS는 Top-Level 도메인 서버한테서 DNS 서버 주소(a.iana-servers.net) 정보를 받는다.

8. DNSDNS한테서 example.com IP주소(93.431.432.45) 정보를 받는다

9. DNS는 💻Computer에게 IP주소(93.431.432.45)를 알려준다(해당 IP주소로 보낸다)

 


출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