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AN
- 동일한 IP대역과 Subnetmask를 사용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 ARP Request가 닿는 모든 범위
- LAN 구성? 스위치로 컴퓨터간 연결
- 스위치로만 가능? 허브로도 컴퓨터간 연결 가능하지만 얘는 연결된 컴퓨터의 MAC Address를 저장 및 관리 못함. 무엇보다 VLAN 지원하지 않음
- LAN에서의 통신? ARP로 진행됨
- ARP? IP(논리 주소)와 MAC Address(물리 주소)를 매핑시키는 작업(L2 Protocol)
*스위치는 MAC Address 정보 생성 및 관리/저장 가능 - ARP 동작과정? Broadcast로 LAN 내 컴퓨터들의 MAC Address를 확인하고 이렇게 취합한 정보를 ARP Table로 관리
- LAN에 연결되는 컴퓨터가 많아지면? VLAN 사용
- VLAN? 가상 LAN. Broadcast Domain을 나누는 논리적 LAN.
- 하나의 LAN을 공유하더라도 VLAN이 다르면 Broadcast가 닿지 않음
- ARP Table에 정보가 없으니깐 L2 스위치를 통한 통신 불가
- 하나의 LAN을 공유해도 VLAN이 다른 스위치 간에는 라우터(L3)를 통해 통신
- 스위치에서 VLAN은 어떻게 구별? 스위치는 L2임. L2이면 데이터는 프레임. 프레임에는 IP Header가 없음. 그래서 구별에 필요한게 VLAN ID인 IEEE 802.1Q
- 프레임이 스위치 진입할 때 주는 ID
네트워크 엔지니어 환영의 기술블로그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제대로 이해한 것이 아니다.
aws-hyoh.tistory.com
L2 Network 쉽게 이해하기 참고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패킷 흐름, 릴레이 에이전트, 갱신 개념 정리 (0) | 2024.03.01 |
---|---|
TCP/IP, 3 way handshake, 흐름제어와 혼잡제어 (1) | 2024.02.15 |
IT인프라 공부(OSI 7계층, IP) (0) | 2024.02.12 |
DNS 구조 알기 (0) | 2024.01.15 |
RESTful 웹서비스? RESTful? REST? REST API? (0) | 2024.01.14 |